본문 바로가기
금융이야기

연금으로 월 500만원 받는 방법 : 후회없는 직장인의 노후준비

by 정신나간 엘리스 2024. 3. 9.
반응형

 

연금은 경제활동을 통해 소득을 벌기 힘든 노후 생활을 위해 경제활동기간 동안 벌어들인 소득의 일부를 적립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운영주체가 국가인 공적연금과 국가가 아닌 사적 연금 두 개로 나눠져 있습니다. 

 

모두가 불안해 하는 노후는 안정적 소득이 있는 사람만이 행복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연금으로 죽는 날까지 월 500만 원 받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1. 연금으로 월 500만원 받는 방법 

 

한 달에 500만 원 벌기도 힘든데 어떻게 월 500만 원 연금을 만들죠?

 

1) 국민연금 납부

국가가 전국민에게 내라고 시키는 것이 있죠. 국민연금입니다. 젊은 시절은 월급 명세표 보며 왜 이렇게 많이 가져가는 거야? 한 번씩 분노한 적 있으시죠. 하지만 다 돌아옵니다. 열심히 납부하십시오. 여러분이 지금 납부하시는 국민연금은 향후 연금개시일부터 죽는 날까지 월 100만원에서 170만 원으로 확보 가능 합니다. 

 

수령시기와 조건 궁금하시면 아래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024.03.01 - [금융이야기] - 국민연금 수령나이, 수령 조건, 수령 시기 변경 방법 알아보자

 

국민연금 수령나이, 수령 조건, 수령 시기 변경 방법 알아보자

매달 우리는 적지 않은 금액을 국민연금에 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늘 궁금한 것이 내가 매달 힘들게 내는 이 돈은 언제쯤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나이, 수령

www.crazyaliceforeveryone.com

 

2) 국민연금 납부시기 연기혜택

국민연금은 67세까지 연기 가능합니다. 연기하게 되면 1년에 7.2%씩 연금이 증가하게 되죠. 

지금 당장 그 돈이 필요 없는데 받아서 일반 통장에 두실 거라면 국민연금 연기신청 반드시 하세요. 가만히 둬도 1년에 7.2%씩 증가하는데 그냥 받아두시면 돈 버리시는 겁니다. 

얼른 연기 신청하십시오! 

 

3) 퇴직금 

퇴직금은 '퇴직직전 3개월 평균액 x 근속년수' 로 계산됩니다. 3개월 평균액 400만 원 x25년 일 경우 총 1억 원의 퇴직금이 생기게 됩니다. 이금액 월로 환산하면 3개월 평균금액마다 다르겠지만 월 100만원 정도의 금액이 됩니다. 

 

4) 주택연금 

주택을 담보로 집값의 30%를 죽는 날까지 연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 수령액은 시세기준을 책정합니다. 공식 시세 기준입니다. 집값1억당 월 30만 원의 연금을 평생 받을 수 있습니다. 집값이 5억이라면 월 150만원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 집값이 5억이고 연금으로 받은 총금액이 7억 일 경우 걱정하지 마세요. 뱉으라고 안 합니다. 국가가 알아서 해결합니다. 반대로, 집값이 5억이고 받은 금액이 총 3억 일 경우 2억의 차액은 자녀에게 돌려주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주택연금 왜 신청 안하십니까 ? 우리가 죽고 나서 주택 들고 갈 것도 아닌데 , 신청해서 평생 연금 받으며 행복하게 살다 가야 합니다. 

 

[신청조건]

 만55세 이상, 주택가격 공시가격기준 12억 원 이하

    (다주택자일 경우 합산 가격 12억원 이하여야 함)

 

5)만 55세 이후 사적연금 수령 vs 수령연기 

연금 통장을 들여다보셔야 합니다. 수익이 잘 나고 있다면 만 55세 수령할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2~3% 수익만 내고 있다면 인출하셔서 수익 나는 상품(주식, 부동산, 코인)에 재투자하십시오. 

 

6) 퇴직금은 일시금 수령 vs 연금 수령 

근속 기간이 20년~30년일 경우 퇴직소득세율은 2~3%로 입니다. 1억을 일시불 인출 시 세금 200만 원~300만 원 인 것입니다. 연금 수령 시는 세금혜택이 있는 것으로 세금 200만 원~300만 원을 줄여 주는 것이죠. 

장기근속일 경우 세금이 적기 때문에 일시금수령 할지 연금수령할지 고민포인트는 아닌 것이죠.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는 일단 IRP 계좌를 들여다보셔야 합니다. IRP 계좌가 좋은 곳에 투자해 수익을 많이 내고 있다면 그대로 두는게 낫겠지만 겨우 2~3%수익을 내고있다면 인출하는 게 낫겠죠. 

 

많은 분들이 주택까지 담보 잡혀서 연금을 받아야 하나 고민을 하십니다. 왜 고민하십니까. 주택은 죽을 때 가지고 갈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살아있을 때 행복해야 합니다. 고민하지 말고 연금 챙기셔서 행복하게 지내십시오. 

글에서도 적었듯이, 집값보다 연금수령액이 적을 경우 그 차액은 다시 가족들에게 돌아갑니다. 

모두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가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