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정보이야기

온라인 전입신고 할때 세대주 변경 하는 방법

by 정신나간 엘리스 2024. 3. 26.
반응형

아파트 청약, 세금 관련 등의 사유로 전입신고 세대주 변경 또는 세대분리를 고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세대주 변경은 개인의 주거 및 경제 상황 변화에 따른 주민등록상의 필수 조정으로 새로운 주거 환경에서 법적 자격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입니다. 

 

세대주 변경 / 세대분리 필요한 경우

 

 1) 독립된 가구를 구성하여 공적인 서비스나 금융상의 혜택을 이용해야 할 때

 2)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및 독립적인 가계 운영을 목적으로 할 때 

 

세대주 변경 / 세대분리 시 주의사항

세대주 변경 및 세대분리는 세대원들의 거주와 재산상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칩니다. 세대분리의 각 단계를 정확이 이해하고 실행해야 합니다. 

 

세대주 변경 / 세대분리 자격 조건

1)만 18세 이상

2) 해당 개인은 주민등록상 동일한 주소지에 거주해야 함 

3) 이전 세대주의 동의 필요 

※  세대주 사망 및 결격 사유 발생 시 세대분리 가능하며, 관련서류 구비후 행복센터(동사무소)에 제출 후 세대주 변경절차 진행 필요

 

온라인 전입신고 시 세대주 변경방법

 

1) 세대구성, 세대편입으로 전입신고 신청 후 ▶ 주민등록말소신고

  - 전입신고 시 전입구분을 [세대구성, 세대편입] 선택하고 민원신청 

  - [서비스 신청내역]에서 전입신고의 처리상태가 처리완료로 상태변경 확인

 

2) 동일 주소지에서 세대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 정부 24에서 [주민등록정정(말소) 신고] 검색 후 신청적 작성을 [세대주변경]으로 민원신청 

  - 신청인은 신청 시에 인증서(공동, 금융) 확인 필요 

  - 변경되는 세대주, 세대원은[정부 24 사이트 상단][민원서비스][신청/확인/공유][사실/진위확인][세대주 확인] 메뉴에서 인증서로 본인확인 필요 

※ 모든 절차가 끝난 이후  [서비스 신청내역] 처리상태 반드시 확인 

 

3) 세대합가로 전입신고 신청 

전입지에 이미 다른 세대주 A가 있는 상태에서 신청인 B가 세대주가 되어야 하는 경우 : B가 전입신고 신청서 작성을 해야 합니다. 

  - 전입신고 1단계에서 전입구분을 [세대합가], 전입지 세대주와의 관계는 [본인]을 선택  

  - 전입신고 2단계에서 [전세대주] 란에 세대주 A의 인적사항 작성

  - 전입신고 2단계에서 전입자란의 세대주에는 B의 인적사항을 작성 후 B의 인증서로 민원 신청 

  - A는[정부 24 사이트 상단] [민원서비스][ 사실/진위확인][세대주확인] 메뉴에서 동의하는 경우 인증서로 본인확인 

※ 모든 절차가 끝난 이후  [서비스 신청내역] 처리상태 반드시 확인

 

정부24 바로가기

 

 

[정부24 사이트 상단]

 

[민원서비스 - 사실/진위 확인]

 

[세대주확인]

반응형